JavaScript에서 클로저 스타일의 차이점 이해하기

JavaScript 프로그래밍을 시작하면 다양한 클로저 작성 스타일을 접하게 됩니다. 이 중 가장 눈에 띄는 스타일은 익명 생성자인라인 실행 함수입니다. 많은 개발자들은 이 두 스타일의 차이가 무엇인지, 그리고 어느 쪽이 더 선호되는지 궁금해합니다. 이 블로그 포스트에서는 두 클로저 스타일 간의 동작 차이뿐만 아니라 각각의 장단점을 평가해 보겠습니다.

클로저란 무엇인가?

각 스타일의 세부 사항을 살펴보기 전에 JavaScript에서 클로저가 무엇인지 간략히 설명하겠습니다. 클로저는 함수가 실행되는 범위 외부에서도 자신의 렉시컬 스코프에 접근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함수입니다. 이 규칙은 데이터 캡슐화, 팩토리 함수와 같은 강력한 프로그래밍 패턴을 가능하게 합니다.

두 가지 클로저 스타일

1. 익명 생성자

첫 번째 스타일은 익명 생성자로,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습니다:

new function() { 
  // 여기에 코드 입력
}

이 방법은 로직을 정의할 수 있는 함수를 호출합니다. new 키워드가 있음으로써 이 함수가 생성자로 처리되도록 지정합니다.

2. 인라인 실행 함수

두 번째 스타일은 인라인 실행 함수로, 다음과 같이 생겼습니다:

(function() {
  // 여기에 코드 입력
})();

이 경우, 함수가 즉시 실행되어 생성자 없이 코드를 실행하는 빠른 방법을 제공합니다.

두 스타일 간의 주요 차이점

각 스타일의 기본 사항을 이해했으니, 이제 동작 및 성능을 기준으로 비교해 봅시다.

반환 값

  • 반환 동작:
    • 익명 생성자의 경우, 함수의 반환 값은 객체가 명시적으로 반환되었는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.
    • 반면, 인라인 실행 함수는 객체를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실행됩니다.

this 컨텍스트

  • 컨텍스트 동작:
    • new function()을 사용할 때, 함수 내부의 this 값은 새로 생성된 객체를 참조합니다.
    • 반대로, 인라인 실행 함수에서 this는 새로운 객체를 생성하지 않기 때문에 글로벌 컨텍스트(혹은 엄격 모드에서는 undefined)를 참조합니다.

성능 고려 사항

  • 속도:
    • new function() 스타일은 this를 위해 새로운 객체를 생성해야 하므로 느릴 수 있습니다.
    • 그러나 성능 차이는 일반적으로 큰 코드량을 실행하지 않는 한 미미합니다. 성능이 중요한 코드에서는 복잡한 클로저 사용을 피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권장됩니다.

내부 메커니즘

  • new 표현식의 내부 작용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습니다:
var tempObject = {};
var result = expression.call(tempObject);
if (result is not an object)
    result = tempObject;
  • 여기서 tempObject는 호출 전에 표현식으로부터 프로토타입을 받습니다. 이 현상은 JavaScript의 생성자 함수 처리의 필수 부분입니다.

결론: 어떤 것을 사용할 것인가?

익명 생성자인라인 실행 함수 중 선택하는 것은 코드의 특정 요구 사항에 따라 다릅니다.

  • this의 컨텍스트를 새로 생성된 객체로 설정하거나 객체가 되어야 할 반환 값을 처리해야 하는 경우 익명 생성자를 사용하세요.
  • 새로운 객체를 생성하는 오버헤드 없이 코드를 실행하는 데 중점을 둔 경우 인라인 실행 함수를 선택하세요.

대부분의 시나리오에서는 성능과 가독성을 고려할 때 개발자들이 인라인 실행 함수를 더 선호하지만, 두 스타일 모두 JavaScript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 이러한 미묘한 차이를 이해하면 코딩 여정에서 더 나은 결정을 내릴 수 있습니다.

코딩을 즐기세요! 클로저 스타일에 대한 궁금증이나 경험이 있으면 아래 댓글로 자유롭게 공유해 주세요!